디자인 칼럼

‘생산성’에만 집착하면 안 되는 이유 : 목표를 달성하는 습관 만들기

디자이너_파랑 2023. 2. 3. 02:09

 

목차

생산성이란 무엇일까요?
Output과 Outcome을 구분하지 못하면 ‘일만 하는 기계’가 됩니다.
목표를 달성하는 습관을 만드는 세 가지 방법

 


 

생산성이란 무엇일까요?

앱스토어에서 ‘생산성’이라는 탭을 클릭한 적 있으신가요? 생산성이 정확히 어떤 뜻을 가진 단어인지 알고 클릭하신 분들은 아마 그다지 많지 않을 거라고 생각해요.

 

즉 생산성(Productivity)이란 노동자/노동시간당 생산해내는 제품의 생산량을 의미합니다. / 위키피디아

 

생산성은 아래 두가지 기준으로 측정가능하기 때문에, 우리는 생산성 도구를 통해 일의 속도를 올리거나, 자동화시켜 시간당 업무량을 늘립니다. 그렇게 만들어지는 성과를 최대한 많이 쌓는 것을 목표로요.

  1. 일정 자원에서 얼마나 많은 부가가치를 만들어내느냐
  2. 일정 부가가치를 얼마나 적은 자원으로 만들어내느냐

그러나 생산성만을 생각해서는 정말 ‘일을 잘 한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Output이 아닌 Outcome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Output과 Outcome을 구분하지 못하면 ‘일만 하는 기계’가 됩니다.

Output과 Outcome은 모두 결과물이란 단어로 해석할 수 있지만, 이 둘은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Output : 우리가 만들어 내는 무엇
Outcome : 그 무엇이 가져오는 결과, 만들어내는 영향력

한 눈에 보아도 두 단어의 차이점을 알 수 있겠죠? Outcome이야말로 우리가 달성하고자 하는 진짜 목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기념일에 서프라이즈를 준비할 때, 선물을 준비하는 것은 내가 한 Output이고, 그를 통해 상대방에게 기쁨을 전달하는 것이 진짜 목적 Outcome이라고 할 수 있듯이요.

우리는 생각보다 쉽게 Outcome을 무시하곤 합니다. “내가 얼마나 노력했는데, 얼마나 오랜 시간 준비했는데”와 같은 생각들로 (목적을 달성했는가와 상관없이) Output에 따라 보상을 받고자 하는 심리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시간과 노력을 쏟아부어도,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면 결국 우리는 시간과 노력을 허비한 셈이 됩니다. 그 과정에서 얻은 것이 있을 순 있지만, 목표한 것을 손에 넣지는 못했으니까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항상 Outcome을 고려하며 일해야 합니다.

 


 

목표를 달성하는 습관을 만드는 세 가지 방법

당장 하루하루의 일만 끝마치기도 벅찬데, 목표까지 생각해야한다니 한숨이 나오곤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목표를 포기하게 되면 더더욱 안 좋은 방향으로 굴러갈 수밖에 없어요. 그래서 조금이나마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보고 함께 노력해보려합니다. 😤

1. 작은 Outcome부터 시작하기

거창할 필요는 없어요. Outcome은 다음 Outcome의 기초가 되어줍니다. 작은 경험이어도 반복할수록 더 질 좋고 더 효율적으로 같은 목표를 쉽게 달성할 수 있어요.

2. 설레는 목표를 만들기

두근거리는 목표를 만드세요. 거창하고 또 나를 들뜨게 만드는 목표 말이에요. ‘다양한 브랜드 경험하고 공부하기’ 보다는 ‘경험많은 브랜드 디자이너로 성장하기’처럼 조금 더 재미있고 달성하면 설레는 목표를 정해야 더 오래 그리고 더 열정적으로 임하게 된답니다.

🔍 작은 일부터 시작하는 것과 반대된다고 느낄 수 있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아요. 목표, 꿈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성과(Outcome) > 성과를 내기 위한 작업물(Output)이라고 이해하면 편할 것 같네요.

3. 피드백을 통해 방향성 점검하기

1년이 52주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1년은 긴 시간인 듯 싶지만, 52주라는 숫자로 본다면 짧은 시간인 듯도 합니다. 일주일은 수치로 환산해보기도 쉬울 뿐더러, 계획을 지키거나 변동성에 유연하게 반응하기에 적절한 기간입니다. 정기적으로 기간을 정해두고 목표한 방향성에 맞게 가고 있는지 지켜봐보세요. 일주일에 딱 한 번, 30분이면 충분합니다. (일주일에 유튜브 동영상 한두개 정도의 시간으로 충분하다는 이야기에요.)

 


 

Outro.

더 나은 스스로를 위해 노력하는 시간들, 그로 인한 성취감과 기쁨은 다른 무엇과 비할 바 없이 달콤하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한다면 제대로 하는 우리들답게 이런 이야기들이 필요하다고도 생각하고요! 조금 더 행복한 오늘과 미래를 위해 한 걸음씩 나아가봅시다. 😎

이번주 이야기는 여기까지입니다!
다음주에 또 봐요 
🤗